티스토리 뷰
아래 명제들은 모두 사실입니다. 그리고 이 명제들이 모두 조화롭게 이해되고 받아 들여지기를 바랍니다.
- 종이지갑은 HD wallet 이 나오기 이전에 주로 사용되던 지갑의 형태
- 비밀키는 1 ~ 2^256 사이에서 선택된 임의의 수
- 비밀키로부터 공개키가 나오고, 공개키로부터 비트코인 주소가 생성됩니다.
- 공개키는 2가지 형태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. 그냥 공개키, 다른 하나는 압축된 형태의 공개키.
- 그냥 공개키 => p2pkh(레거시)
- 압축된 형태의 공개키 => p2pkh(레거시), p2wpkh(네이티브세그윗), p2sh-p2wpkh(네스티드세그윗)
- 결국 하나의 비밀키로부터 위와 같이 4개의 서로 다른 비트코인 주소 형태가 생성될 수 있음
- wif 는 비밀키와 메인넷 여부, 공개키의 압축여부, 그리고 체크섬 정보를 합해서 Base58 로 인코딩한 것
- 종이지갑은 하나의 wif(사실상 비밀키)와 비트코인 주소 두가지를 종이에 출력한 형태
- 굳이 출력을 하지 않더라도 이렇게 wif 와 주소값을 관리하는 형태의 지갑을 모두 종이지갑이라고 퉁쳐서 말하기도 함
- HD Wallet 은 종이지갑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된 사실상 업계 표준 지갑
- 니모닉은 엔트로피(256비트 숫자)를 2048개 단어들의 조합으로(순서중요) 표현한 것
- 니모닉은 HD wallet 의 시드를 생성 및 백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됨
- HD wallet 은 시드로부터 결정적으로 파생되는 종이지갑 40억개를 하나로 묶어 놓은 지갑
- 아래와 같이 주소가 파생됨
- 니모닉(엔트로피) + 패스프레이즈(optional) => 시드 => 마스터키 => (파생 경로에 따라) => 수많은 비밀키 & 공개키 & 주소가 생성됨
728x90
반응형
'비트코인 전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류는 아직 비트코인을 이해하지 못했다. (0) | 2023.04.20 |
---|---|
HD Wallet 의 구조와 동작방식의 이해 (9) | 2023.04.14 |
종이지갑 주장하던 내가 하드월렛을 주문한 이유 (10) | 2023.03.21 |
어떤 지갑을 사용해야 할까 (2) | 2023.03.13 |
비트코인 반감기가 4년인 이유 (0) | 2023.03.09 |
댓글